오늘의 사설☕5개 요약

권민철
권민철

실체 없는 산재 카르텔, “혈세 수조 샌다”던 말 어디 갔나[경향신문]

•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산재보험제도 특정감사 결과 부정수급 486건. 산재 승인건수(14만4965건)의 0.3%, 보험급여 지출액(7조2849억원)의 0.15%.

• 근로복지공단·산재병원·산재환자가 유착한 ‘산재 카르텔’도, 조 단위 혈세가 줄줄 새는 정황도 확인되지 않아. 애초에 허깨비를 그려놓고 시작한 감사였던 셈.

• 그런데도 정부·여당은 산재급여 수급자 상당수가 나이롱환자이고, 산재보상 업무 종사자들이 비리 집단이라도 되는 양 몰아가. 배경은 문재인 정부 때 도입된 ‘추정의 원칙’을 손질하려는 것.

🔎추정의 원칙: 다빈도 근골격계 질병이나 직업성 암은 직종, 근무기간, 유효기간 충족 시 업무관련성이 높다고 추정해 일부 조사를 생략하는 것. 노동자들이 보다 빨리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게 하기 위한 제도.

• 그러나 이번 감사에서 ‘추정의 원칙’과 관련한 부정 사례는 한 건도 없어. 참고로 '추정의 원칙’ 축소·폐지는 재계의 요구.


‘더 내는’ 연금개혁 우선 추진하고 추후 ‘이원화’ 신중히 검토해야[서울경제]

• 한국개발연구원(KDI) 국민연금 구조 개혁 방안 발표

• 골자
구 세대와 신세대 간 연금을 분리하자

• 목적
미래 세대가 국민연금을 낸 만큼 돌려받을 수 있게 하자

신(新)연금 : 새로 적립. 보험료와 적립 기금의 운용 수익만큼만 연금으로 돌려주는 방식
구(舊)연금 : 일반 재정 투입해 부족분 해결하는 방식
👉구연금 재정 부족분 : 현재 가치로 609조원. 5년 뒤엔 869조원 추산.

• 왜 발표했나?
1월 말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가 본격 활동에 돌입
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등 일부 숫자만 조정하는 안 논의중

• 국회 논의 문제점
숫자 조정(모수 개혁)은 그 것이 어떤 것이든 누적 적자를 줄여 국민연금 고갈 시기를 늦추는 것에 불과

• 당부
국회 임기말 이므로 결정하기에 부담이 적은 타이밍
시기를 놓치면 윤석열 정부 임기 내 연금 개혁이 물건너갈 수 있어
KDI의 '연금 이원화’는 추후 신중히 검토해도 늦지 않아
그 때에 직역연금과 국민연금 통폐합안도 논의 가능


공석으로 둔 여가부 장관, 국정 무책임 키운다[한국일보]

• 윤석열 대통령이 그제 김현숙(사진) 여성가족부 장관의 사표 수리. 여가부를 신영숙 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하기로. 왜 5개월 만에 사표가 수리됐는지 알 수 없어. 원칙적인 국가 운영이라면, 김행 전 후보자가 낙마한 뒤 바로 여가부 장관 후임을 물색했어야.

• 장관을 공석으로 둔 부처에 어떻게 책임 있는 국정 수행을 기대하겠나.

• 여가부 폐지는 정부조직법이 바뀌어야 가능. 즉 총선에서 여당이 다수당이 되야 가능. 선거 결과에 관계없이 장기간 부처 책임자를 임명하지 않는 건 기형적인 국정 운영일 수밖에 없어.


與野 공약 20개 중 12개가 ‘묻지마 재원’… 결과 뻔한 사탕발[동아일보]

• 국민의힘이 발표한 총선 공약 11개 중 6개, 더불어민주당 공약 9개 중 6개에는 재원 마련 계산서가 첨부되지 않아. 주요 공약의 60%가 묻지마 재원인 셈.

• 선심성 공약 경쟁은 도박판의 판돈 키우기와 비슷. 한쪽이 공약을 내놓으면 다른 쪽이 더 많은 돈이 드는 비슷한 공약으로 맞불을 놓는 식.

• 맞불 사례
도심 단절 구간의 철도 지하화(국민의힘) ➡ 도심의 지상 철도 지하화(민주당)
경로당 주 5일 점심 제공(민주당) ➡ 경로당 주 7일 점심 제공(국민의힘)

• 현실은?
공약 중 예산 규모가 제시된 것만 해도 최소 143조원.
지난해 56조원 세수 펑크(역대 최대).
올해도 정부 예측보다 국세가 6조원 덜 걷힐 것으로 예상

• 비판
나라 곳간은 비어가고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 할 상황에서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 공약을 마구 던지는 것은 무책임.


위상 강화 저출산委, 큰 정부·옥상옥 논란 경계해야 [한국경제]

• 정부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법적 위상을 강화하기로 함. 윤석열 대통령 “직급과 예우도 올리겠다”고 약속. 신임 주형환 부위원장 부총리급이 될 전망.

• 경계해야 할 점은 강화된 조직의 경직성과 덩치 큰 상시 조직의 비효율성.

• 부위원장이 ‘부총리급’이 되면 조직부터 커질 공산 큼.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같은 중앙행정기관으로 전환한다는 전망도. 신중할 일이다.